남창주 교수, 산업 자동화 분야 저명 학술지 논문게재 승인
남창주 교수, 산업 자동차 분야 저명 학술지 논문게재 승인본교 전자공학과 남창주 교수와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강재현 박사의 공동연구 성과가 산업 자동화 분야 국제 저명 저널인IEEE Transactions on Industrial Informatics(2022년 기준JCR Impact Factor 11.648,상위3%)에게재 승인 되었다.해당 논문은 이동 로봇이 센서 정보를 이용해 주행하는 공간에 대한 지도를 작성하는 동시에 공간 내 자신의 위치를 추정하는SLAM(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기술에 대한 것으로,공간 내 객체에 대한 의미 정보(semantic information)를 비전 센서 기반의SLAM (Visual SLAM)기술에서 활용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로봇의 정확한 위치 추정을 위해 로봇에 장착된 카메라의6차원 좌표(위치 및 방향)오차를 보정해야 하는데 기존 기술은 일반적인 사진 정보를 이용하기 때문에 조명이나 카메라 시점 차이가 성능에 영향을 줄 수 있다.본 논문에서는Visual SLAM기술에서 위치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새로운 오차 측정 방식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Normalized Information Distance (NID)라는 개념을 통해 기존 방법으로는 수치화하기 어려운 의미 정보들 사이의 차이를 정보 이론(information theory)관점에서 수치화하여 기존Visual SLAM의 성능을 개선하는 성과를 얻었다.본 연구 결과는 카메라를 이용하는 차량 및 이동 로봇의 위치 추정 정확도를 높여 자율주행의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활용될 수 있다.-논문명: A Measure of Semantic Class Difference of Point Reprojection Pairs in Camera Pose Estimation-저자명:강재현(한국생산기술연구원),남창주(서강대학교)정보 기반 의미 정합성을 사용한Visual SLAM기술
23 - 03 - 23
김영욱 교수 연구팀, 2023 한국전자파학회 동계종합학술대회 우수논문상 2편 수상
김영욱 교수 연구팀, 2023 한국전자파학회 동계종합학술대회 우수논문상 2편 수상전자공학과의 인공지능 레이다/RF 연구실(지도교수 김영욱)의 연구원들이 2023년도 한국전자파학회 동계종합학술대회에서 학부 부문 우수 논문상을 2편 수상하였다. 박승연 학생은 ‘Range-Doppler Diagram 기반 CNN을 이용한 저피탐체 탐지 기술‘이라는 제목으로 FMCW 레이다를 이용하여 드론과 같은 RCS가 작은 표적을 시간에 따라 추적하고 그 특징을 추출하여 표적을 탐지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본 연구에서 새로운 드론 탐지 방식을 제안하였고 그 우수성을 인정받아 우수 논문상을 수상하였다. 최인수 학생은 ’FMCW 레이더를 이용한 심폐소생술 수행 시의 가슴 압박 깊이 측정‘이라는 논문에서 심폐소생술시 가슴 압박 정도를 레이다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회귀 모델을 사용하여 그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연구를 이용하면 응급재난시에 휴대폰에 장착된 레이다를 사용하여 심폐 소생술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서울대학병원의 홍기정 교수팀과 공동으로 진행하였다.인공지능 레이다/RF 연구실은 인공지능을 이용한 레이다 신호처리, 최적화 알고리즘을 이용한 안테나 설계, 응용 전자기학과 관련된 다양한 분야를 연구하고 있다. 특히 전자파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인체 행동 분석 분야에서 세계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으며, 스마트 헬스케어용 인체 신호 감지 및 메타버스를 위한 Computer-human interface 분야를 주력으로 연구하고 있다.
23 - 03 - 11
박형민 교수 연구팀, 2022 인공지능 그랜드 챌린지 3차 대회 최종 1위 입상
박형민 교수 연구팀,2022인공지능 그랜드 챌린지3차 대회 최종1위 입상-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 수상▲전자공학과 박형민 교수,구본혁 석박통합과정,박진영 석사과정2022년11월24일'2022인공지능 그랜드 챌린지 대회'시상식이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되었다.박형민 교수 연구팀은3차 대회에VARCO팀으로 참가하여 최종1위로 대회 마무리를 하게 되었다.‘인공지능 그랜드 챌린지’는 제시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참가자들이 자발적으로 진행한 사전 연구를 바탕으로 실력을 겨루는 도전‧경쟁형 경진대회이다.당초,단년으로1차(’17), 2차(’18)대회를 개최하였으나 기술고도화를 위해2019년부터 다년도 대회로 확대 개편하였으며,올해3차~5차 결선 대회가 개최되어 최종 우승팀을 결정하였다.박형민 교수 연구팀이 참여한3차 대회는“인공지능과 로보틱스를 활용하여 복합재난상황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임무를 해결하라”를 주제로2019년7월1단계 대회(예선)을 시작으로2022년11월4단계 대회(결선)까지 총175팀, 935명이 참가하였다.결선 대회에서는 무인이동체(드론)를 활용하여 건물 내 영상,음성 정보, 요구조자가 보낸 사진,신고 문자 정보 등을 수집·활용하여,요구조자의 위치,인원 수,장소 등을 파악하는 임무수행 능력을 겨루었고,박형민교수팀이 소속된VARCO팀(㈜엔씨소프트,㈜유비파이,㈜엠피웨이브,서강대학교 지능정보처리연구실)이 최종 우승을 차지하였다.구본혁, 박진영 학생은 "이번 과제에서 엔씨소프트뿐만 아니라 드론 전문 기업인 유비파이와 협업하여 실제 드론 데이터를 많이 수집하고 분석하는 특별한 경험을 할 수 있었다. 수상을 계기로 실생활에 드론 및 인공지능 기술들이 적용되는 과정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전했다.▲VARCO팀(서강대학교 지능정보처리연구실,㈜엔씨소프트,㈜유비파이,㈜엠피웨이브)
22 - 12 - 10
[언론보도]'젊은 로봇 공학자' 서강대 남창주 교수
'젊은 로봇 공학자' (59) 서강대 남창주 교수'젊은 로봇 공학자(Young Robot Engineer)' 코너는 한국로봇학회와 로봇신문이 공동으로 기획한 시리즈물로 미래 한국 로봇산업을 이끌어 갈 젊은 로봇 공학자를 발굴해 소개하는데 있다.59번째 인터뷰는 서강대 인공지능 로봇 연구실 남창주 교수다. 남 교수는 1984년생으로 고려대학교 전기전자전파공학부에서 2009년 2월 학사, 2011년 2월 석사를 마치고 미국 텍사스A&M대학교에서 컴퓨터 사이언스로 2016년 8월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미국 카네기멜론대학교의 로보틱스 연구소에서 2016년 9월부터 2017년 8월까지 1년간, 또 2017년 11월부터 2018년 6월까지 박사후 연구원으로 근무하다 귀국하여 2018년 7월부터 2021년 2월까지 2년 7개월간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지능로봇연구단 선임연구원으로 근무하였다. 2021년 3월부터 2022년 2월까지 인하대 정보통신학과 조교수룰 거쳐, 올해 3월부터 서강대 전자공학과 조교수로 재직하고 있다.2020년부터 ICRA, IROS 부편집장(Associate Editor), 2022년부터 IEEE 멀티로봇시스템 기술위원회 공동위원장과 AAAI 시니어 프로그램위원(Senior Program Committee)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2019년 6월 지능서비스 로봇 최우수 논문상 등을 수상했다.주요 연구 및 관심 분야는 다수 로봇의 협업, 작업 및 모션 플래닝, 인간-로봇 상호작용, 매니퓰레이션, 네비게이션 등이다.▲서강대 남창주 교수[기사내용 전체보기]http://www.irobot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30106&fbclid=IwAR2t5ma4Nd4OXrMZXXrD4qnCT-UhajjknMiHLpZg8EpMe7VURuasK_HwAuw
22 - 11 - 25
김홍석 교수 연구팀, 세계 최우수 인공지능 학회 ‘NeurIPS 2022’ 논문 게재 승인
김홍석교수 연구팀세계최우수인공지능학회‘NeurIPS 2022’논문게재승인-베이지언추론의일반적인방법론에관한마코프체인몬테카를로기반연구 -▲전자공학과 김홍석 교수전자공학과김홍석교수와김규래,오지수학생이인공지능분야최우수학회중하나인NeurIPS 2022에논문게재승인을받았다.최근인공지능에서확률의중요성은점점더커지고있는데,그에따라데이터와통계에기반한베이시언추론이학계의큰관심을받고있다.본논문은추론대상에대해관찰한후posterior distribution을얻는방법에관한것으로서,해당문제의복잡도가매우큰경우근사함수를사용하여추론하는variational inference에관한것이다.확률기계학습은인공지능분야에서매우중요한연구분야중하나이며,그에따라김홍석교수는올해1학기에확률기계학습강의(대학원)를서강대에서처음으로개설한바있다.본논문이발표되는NeurIPS는ICML, ICLR과더불어세계3대인공지능학회로평가받고있는데,인공지능의활용및응용에관한연구보다는인공지능원천기술자체에관한연구를주로발표한다.김홍석교수는앞으로도세계3대인공지능학회에2호, 3호논문이서강대에서계속나올수있기를희망한다고말했으며,이를위해연구자들을장려하기위한제도적보완이있으면좋을것이라고밝혔다.한편, 1저자인김규래학생은서강대전자공학과졸업후현재UPenn CS박사과정에, 2저자인오지수학생은서강대수학과를졸업하고NCSU통계학박사과정에각각입학하였다. □논문명,저자정보-논문제목:Markov Chain Score Ascent: A Unifying Framework of Variational Inference with Markovian Gradients-저자정보:김규래,오지수, Jacob R Gardner (UPenn), Adji Bousso Dieng (Princeton University),김홍석교수(교신저자,서강대)
22 - 11 - 15
전자공학과 정재익 박사, 한국통신학회 종합학술발표회 우수논문상 수상
전자공학과 정재익 박사한국통신학회 종합학술발표회 우수논문상 수상▲(왼쪽부터)전자공학과 김홍석 교수,정재익 박사전자공학과 NICE연구실의 정재익 박사가(지도교수 김홍석) 6월 22일 한국통신학회 하계학술발표회에서 ‘우수논문상’을 수상했다. 해당 논문의 제목은 "심층강화학습 기반 배터리를 활용한 실시간 시장에서의 재생에너지 입찰 전략"이다.한국통신학회는 매년 동계학술대회를 개최하여 학회 회원의 연구성과를 발표한다. 정보통신 전 분야 및 ICT 융합에 대한 연구와 연구공동체의 확장에 관한 최첨단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최고의 기회를 제공하는 국내 최고의 학술발표회로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한편, NICE연구실은 2011년 창설 이후 AI와 스마트그리드통신이 융합된 ICT와 응용 기계학습 및 최적화 관련 연구를 통해 에너지 ICT의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는 연구에 힘쓰고 있다.
22 - 11 - 15
박형민 교수 연구팀, 2021 인공지능 그랜드 챌린지 3차 대회 2위 입상
전자공학과 박형민 교수 연구팀, 2021인공지능 그랜드 챌린지3차 대회2위 입상-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 수상 및4.75억원 연구비 수주 -전자공학과 박형민 교수 연구팀이11월12일부터14일까지 개최된‘2021인공지능 그랜드 챌린지3차 대회’에서2위를 차지하였다.‘인공지능 그랜드 챌린지’는 제시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참가자들이 자발적으로 진행한 사전 연구를 바탕으로 실력을 겨루는 도전‧경쟁형 연구개발(R&D)경진대회다. ”복힙재난 상황 이해 및 대응“을 주제로 진행된‘2021인공지능 그랜드 챌린지3차대회’는 총4개의 문제(행동인지,음성인지,사물인지, AI모델 최적‧경량화)를 복합적으로 다루었다.서강대팀은 엔씨소프트,㈜유비파이,㈜엠피웨이브와 함께 팀을 이루었다.본 연합팀은 최종적으로2위로 선정되며4.75억원의 후속 연구비를 지원 받았으며,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을 수상하였다.또한,내년에 열리는 인공지능 그랜드 챌린지 최종 단계에 참가할 수 있는 자격을 얻었다.서강대팀은 연합팀 내에서 음성인지 문제를 담당하였다.본 문제는 여러 사람들의 동시 구조 요청 소리를 듣고 요구조자의 성별,어른/어린이를 구분하는 것이었다.제시된 음원에서 검출한 음성의 성별 클래스 별 발화 시간이 포함된 시점을 판단하였다.음성데이터는 복합재난상황을 연출한 다양한 잡음이 포함 되었으며,다채널 마이크를 통해서 취득되었다.
21 - 12 - 28
2021 API 활용사례 공모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 수상
전자공학과 박형민 교수 연구팀,2021 API활용사례 공모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 수상-한국어 기반 감정인식AI모델 개발로 대상 수상-▲(위 왼쪽부터)전자공학과 박형민 교수,구혜진 석사과정(아래 왼쪽부터)전자공학과 이상훈,이승현 석사과정전자공학과 석사과정에 재학 중인 구혜진,이상훈,이승현(지도교수 박형민)학생으로 구성된 사이클링히트팀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이하ETRI)에서 주최하고㈜한국인공지능아카데미에서 후원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이하API)활용사례 공모전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인 대상을 수상하였다.이번 공모전은 국내 인공지능 응용개발 및 산업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개발된API의 활용 및 확산을 위해2021년8월18일(수)부터10월18일(월)까지 약2달간의 기간 동안 진행되었다.시상식은 지난12월8일(수)강남 삼성동 섬유센터 컨퍼런스홀에서 개최되었다.서강대팀은SKT김창현 멘토와 함께 진행한‘멀티모달 감정인식AI모델 개발 연구’를 주제로 대상을 받았다.크로스모달 트랜스포머(Cross-modal Transformer)및 파라미터 쉐어링(Parameter Sharing)기반의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텍스트와 음성 데이터를 학습하였고, 이 연구를 통해행복/중립/분노/슬픔4가지 감정에 대한 분류 모델을 구현하였다.이상훈 학생은”감정인식은 아직 많이 생소한 분야이며 특히 한국어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데,이러한 면에서 이번에 진행한 한국어 기반 감정인식 연구는 큰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며”열정적으로 지도 해주신 김창현 멘토님과 연구 활동을 지원해주신 박형민 교수님께 감사의 말씀을 드리며,꾸준한 연구를 통해 사회에 좋은 영향을 끼치는 연구자가 되고 싶다“라고 소감을 전했다.▲서강대팀이 제안한 크로스모달 트랜스포머 및 파라미터 쉐어링 기반 모델 네트워크▲감정의 세기 및 긍부정도를 나타낸 감정 클래스별 분포도
21 - 12 - 20
박형민 교수 연구팀, SKT AI Fellowship 3기 우수상 수상
박형민 교수 연구팀,SKT AI Fellowship 3기 우수상 수상▲(왼쪽부터)이승현, 구혜진, 이상훈 석사과정전자공학과 석사과정에 재학 중인 구혜진,이상훈,이승현(지도교수 박형민)이2021 SKT Fellowship 3기 우수상을 수상하였다.SKT AI Fellowship은 대학(원)생들이 실제 기업에서 근무하는 개발자들의 현실적인 피드백과 연구비 지원을 통해AI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멘토링 프로그램으로2021년AI펠로우십3기로 활동한 총11개 팀32명의 학생 중15대1의 경쟁을 뚫고 지난5개월 동안SKT사내 전문가의 멘토링을 받으며AI실무 과제를 직접 해결하였고 이 중 연구결과가 우수한4개 팀을 선정하였다.구혜진,이상훈,이승현 학생은Multi-modal감정 인식AI모델 개발 연구를 통해 한국어 텍스트 및 음성 데이터를 활용한 멀티 모달 감정 인식 시스템을 구축하여 데모 시스템을 구현하였고 영문 데이터셋에도 적용하여 멀티 모달 감정 인식 모델의 실효성을 입증하였다.이번 연구결과를 통해 선행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던 한국어 멀티 모달 감정 인식 연구에 새로운 지표를 제안하였다.
21 - 12 - 10